1. 프로젝트 목표

  2. BraTS 데이터셋

    1. 전처리

      • 데이터 리샘플링
        • 모든 복셀의 간격을 1mm으로 통일
          • MRI 스캔 데이터는 B-spline보간으로 연속성 유지
          • 종양 마스크 데이터는 nearest neighbor로 라벨 값 보존
        • HD-BET을 이용해서 뇌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제거
          • 연조직 부분의 소실로 기존 마스크가 제외된 빈 영역에 존재하는 문제 발생
          • 뇌 영역과 마스크의 교집합으로 남아있는 마스크만을 이용
        • 마스크가 너무 작은 데이터 제거
          • 마스크를 잘라내는 과정에서 아예 사라지거나, 너무 작게 남는 경우는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다
          • 데이터 제거로 소실되는 데이터 양과 적합도를 고려하여 남은 마스크가 300복셀이 넘는 데이터만을 학습과 검증에 사용
    2. 데이터셋 제작

      • 전체의 데이터를 9:1로 나눠, 각각을 학습과 검증에 이용
      • 서로 다른 크기의 2D 슬라이스 이미지를, 이미지의 내용을 중심으로 256 x 256 사이즈로 crop & padding을 적용하여 크기를 통일
      • 마스크가 존재하는 슬라이스만을 학습 또는 검증에 이용
      • 모델에 입력하는 이미지는 grayscale 이미지를 전, 후 슬라이스 1장씩 추가해 3장의 이미지를 쌓아서 3채널의 이미지 한장으로 만들어, 유사 3D 이미지의 형식으로 이용
      1. 학습 데이터셋

        • 환자에 상관없이 모든 데이터를 섞어서 학습
        • albumentations 이미지 증강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transform 적용
          • HorizontalFlip : 좌우 반전
          • ShiftScaleRotate : 이미지 이동, 확대/축소, 회전
          • ElasticTransform : 이미지 탄성 변형
            • 종양 같은 미세한 형태 변화가 있는 객체에 대해 모델이 강건하게 반응하는데 도움
      2. 검증 데이터셋

        • 환자 별로 묶어서 구분하여 검증
        • 슬라이스한 2D 이미지들을 차례로 모델에 입력하여 출력된 결과물을 쌓아, 3D 마스크와 비교해 dice score를 계산
  3. 개인 진행

  4. 프로젝트 결과